경제용어사전

사정

 

법정관리 기업의 관리인(법원이 선임)이 부실경영으로 회사에 손해를 입힌 이사나 감사 등 구 경영진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것을 말한다.
사정 결정은 부실경영주에 대한 책임추궁이 일반 손해배상청구소송보다 훨씬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효과가 뛰어나다. 회사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한 사람이면 누구나 그 대상이 된다. 사정 결정은 회사에 손해를 끼친구 경영진의 재산을 환수해 기업회생에 도움을 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일반 민사소송은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는 사실의 입증에 있어서 ‘증명’을 해야 하지만 사정 결정은 그보다 약한 ‘소명’만으로 충분하다.

  • 스텔스 오미크론[stealth Omicron]

    2022년 3월 현재 유행하고 있는 오미크론(BA.1)의 하위 계통 변이종. 기존의...

  • 숏핑[Shortping]

    쇼핑(shopping)과 숏폼(short-form)의 합성어로, 짧은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 서울리스타[Seoulista]

    글로벌 패션·화장 트렌드를 이끄는 ‘서울 여성’을 뜻하는 신조어다. 프랑스 파리지앤느(Pa...

  • 시장 변동성[Market Volatility]

    시장 변동성은 주식, 채권 등 금융자산의 가격이 일정 기간 동안 얼마나 크게, 얼마나 자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