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도급 법

 

기술유용 행위뿐 아니라 하도급 대금의 부당 단가인하, 부당 발주취소, 부당 반품행위 등에 대해 소송을 낼 수 있도록 한 법안.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1호 법안으로 꼽힌다. 또 ''납품단가 후려치기''의 대응책으로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원사업자(원청업체)와 직접 납품단가 조정을 협의할 수 있도록 했다. 협의가 결렬되면 하도급 분쟁조정협의회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초과학기술 개발을 주임무로 하는 국책 종합연구기관으로 1965년 설립됐다. 과기 분야 첫...

  • 호혜주의[reciprocity]

    일방으로부터 특권을 부여받으면 상대방에게 보답하는 개인, 기업, 국가 사이의 관계. 무역 ...

  • 해양생명자원[marine bio-resourses]

    해양환경에서 유래한 해양생물자원(Marine Biological Resourses), 해양...

  • 환헤지[Forex hedge]

    환헤지란 환율 변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실 위험(환리스크)을 회피하기 위해 현재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