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도급 법

 

기술유용 행위뿐 아니라 하도급 대금의 부당 단가인하, 부당 발주취소, 부당 반품행위 등에 대해 소송을 낼 수 있도록 한 법안.

손해액의 최대 3배까지 배상책임을 지도록 하는 강력한 내용을 담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1호 법안으로 꼽힌다. 또 ''납품단가 후려치기''의 대응책으로 중소기업협동조합이 원사업자(원청업체)와 직접 납품단가 조정을 협의할 수 있도록 했다. 협의가 결렬되면 하도급 분쟁조정협의회를 통해 조정할 수 있다.

  • 호재[good news, favorable factor]

    주가에 좋은 영향을 주는 재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장 전체에 대해서는 금리인하, 경기부양...

  • 현지금융[overseas financing]

    우리나라 기업이나 기업의 국외지점이 외국에서 영업활동 자금으로 사용하기 위해 외국에서 외화...

  • 후입선출법[last in, first out, LIFO]

    최근에 구입, 제조된 물품이 먼저 판매된 것으로 보는 재고자산 평가방법. 물가상승시에는 L...

  • 현금영수증제

    자영업자의 현금거래를 파악하기 위해 마련한 제도. 현금영수증이란 현금영수증 가맹점이 재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