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utilitarianism]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을 쾌락, 즉 효용(utility)에 두고 있는 사회사상으로 18세기 정치 철학자 였던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이 체계화한 철학이념이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것이 인간의 본질인 만큼 개인의 행동뿐만이 아니라 사회의 제도와 정책도 그것을 통해 얻어지는 행복과 만족감이 최대화될 때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즉, 사회구성원 전체의 효용의 합을 최대로 하는 것이 공리주의가 추구하는 최고의 선(善)인 셈이다. 공리주의는 ‘다수결의 원칙’을 통해 19세기 중반 영국의 정치사회적 개혁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고, 비용과 편익의 개념을 이용한 효용 극대화를 통해 경제학에 있어서도 상당한 학문적 기여를 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
계속고용제도
일정 연령까지 고용 의무를 부과하되 기업이 재고용, 정년연장, 정년폐지 등 다양한 방식을 ...
-
공수처후속 3법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의 인사청문 마련을 위한 인사청문회법과 국회법 개정안, 공...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활용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 넣을 수 있는 상품은 예금과 적금, 펀드, 상장지수펀드(ET...
-
공공구매 제도
혁신형 중소기업의 가장 큰 애로사항 중 하나인 판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기관을 비롯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