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리주의

[utilitarianism]

모든 가치 판단의 기준을 쾌락, 즉 효용(utility)에 두고 있는 사회사상으로 18세기 정치 철학자 였던 제러미 벤담(Jeremy Bentham)이 체계화한 철학이념이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는 것이 인간의 본질인 만큼 개인의 행동뿐만이 아니라 사회의 제도와 정책도 그것을 통해 얻어지는 행복과 만족감이 최대화될 때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즉, 사회구성원 전체의 효용의 합을 최대로 하는 것이 공리주의가 추구하는 최고의 선(善)인 셈이다. 공리주의는 ‘다수결의 원칙’을 통해 19세기 중반 영국의 정치사회적 개혁운동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했고, 비용과 편익의 개념을 이용한 효용 극대화를 통해 경제학에 있어서도 상당한 학문적 기여를 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 기대여명

    특정 시점에서 앞으로 더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

  • 고장력 저합금강[High‑Strength Low‑Alloy steel, HSLA]

    소량의 합금 원소를 넣어 항복강도 250590 MPa 수준으로 높이고, 탄소 함량은 0.0...

  • 공공예금

    일반은행은 지방자치단체와의 금고업무 취급계약에 의해 재산세, 등록세, 주민세 등의 지방세와...

  •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미국 코닝사가 개발한 강화유리. 이온 강화 처리돼 일반유리에 비해 얇고 가벼우면서도 충격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