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창조적 파괴

[creative destruction]

창조적 파괴는 기술 혁신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기존 산업·시장 구조를 해체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질서와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자본주의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경제학자 조지프 슘페터(Joseph Schumpeter)가 제시한 개념으로, 경제 성장은 파괴와 재창조의 반복이라는 관점을 내포하고 있다.

슘페터는 『경제발전의 이론』(1912)에서 기업가를 생산 요소의 새로운 결합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는 혁신의 주체로 규정했으며, 이후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1942)에서는 창조적 파괴를 자본주의의 핵심 원리로 설명하였다.

한국에서는 스마트폰이 피처폰과 유선통신을 빠르게 대체했고, 카카오·네이버 등의 플랫폼이 기존 통신·미디어 질서를 변화시켰다. 쿠팡, 배달의민족 등은 유통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한 사례로, 이러한 흐름은 산업의 효율성과 경쟁력 강화를 통해 자본주의의 진화를 보여준다.

  • 차이나 런[China run]

    `차이나 런'은 중국(China)와 은행의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뜻하는 뱅크런(bank...

  • 촹얼다이[創二代]

    중국에서 부모의 사업을 잇지 않고 창업을 택한 재벌 2세를 말한다. 부모에게서 막대한 부를...

  • 체인 아이디[CHAIN ID]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금융투자사들이 공동으로 공인 인증 절차를 진행하는 서비스. 증권...

  •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증가에 따른 생산증가분과 자본증가분에 따른 생산증가분을 제외한 생산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