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정수지

 

정부가 거둬들인 재정의 수입(세입)과 지출(세출)의 차이. 수입이 지출보다 많으면 재정흑자, 반대로 지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재정적자다.

재정적자일 경우 정부는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국채를 발행, 빚을 진다. 재정수지는 계산에 포함되는 항목에 따라 통합재정수지, 운영재정수지, 기초재정수지 등으로 나뉜다.

균형재정은 향후에 국가부채를 증가시키지는 않지만 기존에 쌓여 있는 국가부채를 경감하지도 못한다. 따라서 국가부채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당기간 재정흑자를 이뤄야 한다. 이자율 하락은 기존 부채에 대한 이자부담을 줄여 재정수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관련어

  • 직계비속

    자·손과 같이 본인으로부터 출산된 친족의 호칭. 직계존속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 잠재성장률[potential growth rate]

    한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자본, 노동력, 자원 등 모든 생산요소를 사용해서 물가상승을...

  • 자금조달[fund raising]

    기업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말한다. 조달되는 자금은 자기자금과 타인자금으로 구...

  • 적립식펀드투자

    매달 일정액을 불입해서 주식이나 채권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은행의 적금과 증권식투자의 장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