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통신망
[public safety-LTE, PS-LTE]경찰·소방·국방·지방자치단체 등 재난 관련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해 재난 발생 시 국민의 건강과 안전 보호, 국가적 피해 최소화 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통합 네트웍.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때 소속이 다른 구조대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무전기를 사용해 의사 소통이 이뤄지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는 지적에 따라 도입이 추진됐다.
하지만 기술방식과 경제성 등에 대한 논란으로 차일 피일 미루어지다가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본격 추진되었다.
특히나 기술방식에 있어서는 유럽에서 개발한 테트라(TETRA) 방식의 채택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으나 정부는
2014년 7월 31일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훨씬 뛰어난 LTE(public safety LTE)를 기술표준으로 결정하였다.
정부는 사업비 1조5000억원 중 9000억원가량을 통신망 구축에 투입했다. 나머지는 각 기관 단말기 교체 비용과 운영 비용 등으로 쓰인다. 통신망 사업권을 지역별로 셋으로 나눠 이 중 둘을 KT가, 하나는 SK텔레콤이 구축했다. 삼성전자는 기지국 설비와 가상화 코어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 등을 공급했다.
주파수 일원화…“재난 대응 속도 빨라져”
새 국가재난안전통신 전국망엔 4세대 이동통신인 LTE 기술을 대거 적용했다. 기존엔 각 기관이 서로 다른 초단파(VHF)·극초단파(UHF) 무전기나 상용망을 사용했다. 주고받는 정보는 음성에만 한정됐다. LTE 전국망을 통하면 기관별로 쉽게 사진이나 영상을 주고받을 수 있다. 산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엔 영상통화를 통해 화재 규모와 일대 지형 등을 신속히 파악한 후 산림청과 소방당국, 지자체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 대응하는 식이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사진이나 영상을 통하면 음성에만 의존할 때보다 사태를 입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관계기관이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재난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번에 통신할 수 있는 범위도 대폭 늘렸다. 다중동시 영상전송기술을 적용해 최대 2500개 단말기가 서로 실시간 통신을 할 수 있다. 단말기 간 직접 통신기능도 지원해 깊은 산악지대나 지하 등 무선 기지국 연결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IoT) 단말기를 저전력 무선통신으로 연결해 화재 등 재난 사고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통신망은 이중으로 구축하고, 각 통신사의 기존 이동기지국이나 상용망과도 연동한다. 망관제센터는 서울과 대구, 제주로 삼원화했다. 특정 장비에 장애가 발생해도 통신이 두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무선통신 국제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의 재난안전통신규격(PS-LTE)에 맞춰 통신망을 구축했다.
향후 과제는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로의 전환이다. 본격화할 경우 기지국과 단말기 교체 등에만 수천억원이 더 들 전망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은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직 구축 중인 5G보다 LTE 체계를 쓰는 것”이라며 “5G 기술을 비롯해 인공지능(AI), 드론을 활용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조기상환수수료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고객이 만기 전에 대출금을 갚을 경우 금융기관에서 고객에게 물리는 ...
-
제조원가명세서
제조원가명세서는 일정기간 동안 물건을 만드는 데 든 비용을 재료비, 노무비 및 경비로 나누...
-
주노[Juno]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목성 탐사선. 2011년 8월5일 미국 플로리다...
-
자동차보험 불량물건
자동차보험 불량물건은 과거 사고 사례가 많거나 손해율(보험료 대비 지급 보험금 비율)이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