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투표의 역설

[voting paradox]

다수결 투표를 통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투표 순서 등에 의해 결과가 바뀌면서 일관성을 잃는 현상을 가리킨다. 가장 많은 사람이 표를 던진 방안을 선택한다는 투표의 기본 원칙이 무너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주로 유권자의 안건별 선호도가 특정 지점이 가장 높고, 여기에서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단봉 선호형이 아니기 때문이다. 케네스 애로는 불가능성의 정리라는 명칭으로 공동체에서 완벽하게 일관된 선호 체계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을 밝혔다.

  • 특이점[singularity]

    인공지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해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는 기점을 말한다. 컴퓨터 중앙처리장치의 ...

  • 통크족[two only no kids, TONK]

    손자·손녀를 돌보느라 시간을 빼앗기던 전통적인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역할을 거부하고 자신들만...

  • 테라스형 상가

    점포 앞에 테라스를 설치하고 커피숍ㆍ음식점 등의 영업을 하는 상가를 말한다. 길가에 들어선...

  • 태프트 하틀리 법[Taft Hartley Act]

    1947년에 제정된 미국의 노사관계법. 이 법은 노동조합의 활동을 제한하고 단결권에 저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