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일본경제의 5대 함정

 

일본경제에 장기불황을 초래하고 있는 다섯가지 함정을 말한다. 첫째로는 일본 정부의 의도대로 경제주체들이 반응하지 않아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정책함정(policy trap)''을 들 수 있다. 특히 주가와 경기침체의 회복방안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금리인하 정책은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에 빠져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본처럼 정책과 유동성 함정에 빠지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주체들이 과도한 부채에 시달려 소비나 투자를 하지 못하는 ''빚의 함정(debt trap)''에 걸려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은 부실기업과 부실금융기관의 처리가 별다른 효과를 내지 못하는 ''구조조정 함정(structure trap)''에 빠져 있다. 이런 상황에 놓이면 경제주체들이 미래에 대해 느끼는 불확실성은 증대돼 예측기관들은 전망이 또 다른 전망을 불러일으키는 ''불확실성 함정(uncertainty trap)''에 빠지게 된다.

  • 오프 프라이스 스토어[open price store]

    미국에서 견본용 상품이나 흠 있는 상품을 매우 낮은 가격으로 파는 매장을 말한다.

  • 양곡관리특별회계

    양곡관리법 등에 따라 정부가 쌀 수매를 목적으로 운영하는 특별회계로 1950년 도입됐다. ...

  •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평화와 국제적 협력을 증진하고 교육, 과학, 문화, 통신, 정보의 ...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Arrow''s Impossibility Theorem]

    케네스 애로는 일반균형이론과 후생경제학에 크게 공헌한 경제학자로 1972년 노벨경제학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