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자제품 위탁생산

[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s, EMS]

EMS는 OEM(주문자)의 설계 도면에 따라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조립·검사·납품까지 일괄 제공하는 제조 전문 서비스 산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다른 회사의 브랜드로 판매되는 제품을 대신 만들어주는 ‘얼굴 없는 산업’이다.

EMS는 초기에는 스마트폰, PC, TV 등 제품 수명주기가 짧고 생산기술이 표준화된 정보통신기기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일반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또한 단순 조립(Assembly)에 머물렀던 과거와 달리, 설계·기획·개발 등 상위 단계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EMS는 제품의 디자인이나 부품업체 선정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ODM(제조자개발생산)과 구분된다. ODM은 주문자의 요구에 맞춰 자체적으로 설계와 부품 조달을 수행하지만, EMS는 OEM이 제공한 설계에 따라 생산만 담당한다. 따라서 생산한 제품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 정부3.0 발전계획

    2014년 7월 출범한 ‘정부3.0 추진위원회’가 정부 3.0에 대한 국민의 체감도와 인지...

  • 종합소득금액

    근로소득, 이자소득,임대소득,사업소득,배당소득 등 경상소득(비과세소득포함)을 뜻하며, 퇴직...

  • 적폐[積弊, great accumulation of filth or corruption, Augean stable]

    오랫동안 쌓이고 쌓인 관행, 부패, 비리 등의 폐단을 말한다. 이를 뿌리 뽑으려면 조직, ...

  • 재감사 제도

    상장폐지 관련 재감사 제도는 원래 소액주주를 위해 한국거래소가 2013년 도입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