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동산신탁

 

일반인 소유 부동산을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고 대신 개발, 관리, 처분해주는 제도. 개발 이익은 물론 부동산 소유주에게 돌아가는 일종의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능을 의미한다. 신탁업무 중에는 개발을 의뢰한 땅 소유주의 토지에 오피스빌딩, 연립주택 등 건축물을 짓거나 택지조성 등의 사업을 시행한 후 이를 분양, 임대해 이익을 남겨주는 ‘토지개발신탁’이 대표적 신탁업무에 속한다.

이외에 유형은 비슷하나 소유자를 대신해 임대차관리,시설유지 등 일체의 관리를 책임지는 ‘관리신탁’, 공공청사부지 연수원부지 등 대형 부동산을 대신 처분해주는 ‘처분신탁’, 부동산의 관리와 처분을 신탁사에 맡기고 수익권 증서를 금융기관에 제출해 자금을 대출받는 ‘담보신탁’ 등이 있으며 이밖에 취득, 처분, 대리사무, 부동산중개, 컨설팅 등의 업무도 광의의 부동산신탁 개념에 속한다.

  • 부당노동행위[unfair labor practices]

    사용자가 근로자의 단결권, 단체교섭권, 쟁의권이나 조합의 정상적인 노동운동에 대해 행하는 ...

  • 비농업취업인구[nonfarm payroll employment]

    미국 노동부에서 매달 첫 번째 금요일에 발표하는 고용지표로 농업을 제외한 산업에서 임금근로...

  • 브라운식 모델

    2008년 금융 위기 당시 영국의 총리였던 고든 브라운(Gordon Brown)의 이름을 ...

  • 벤치마킹[benchmarking]

    기업들이 주변에서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상품이나 기술을 배워 자사의 생산방식에 합법적으로 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