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처리유예제
어음이나 수표 대금을 주어진 기일 안에 거래은행에 입금시키지 못해도 부도처리를 일정기간 유예해주는 제도. 성장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이 자신의 직접적인 잘못이 없어도 거래처의 도산 등에 따라 부도위기에 몰리는 등 이른바 흑자도산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그러나 부도처리를 유예할 경우 금융기관의 자율성과 지급결제제도의 안정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부도를 유예해 준 기업이 실제로 부도를 냈을 때 금융기관이 자금부담을져야 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유예제를 도입하더라도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부도처리유예제도는 우선 1차 부도 횟수를 현재 연 2회에서 3회로 늘리고 당좌거래정지처분 후 적색거래처로 등록하는 기간을 현재 7일 이내에서 1개월 이내로늘려주는 방안을 골자로 하고 있다. 또 부도발생 기업은 무조건 2년간 당좌거래가 정지되는규정을 고쳐 부도 대금을 납입할 경우 가능한 한 빨리 당좌거래 재개를 허용토록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
재정경제부가 주관하는 위원회로 정부 및 민간 위원 12명으로 구성된다. 위원장은 재정경제부...
-
바이아웃[buy-out]
기업의 지분 상당부분을 인수하거나 아예 기업자체를 인수한 후 대상기업의 정상화나 경쟁력 강...
-
반기보고서[semi-annual report]
1년의 사업연도를 가진상장회사가 사업연도의 1/2, 즉 6개월간의 경영성과를 요약하여 공시...
-
변환계수
전력 1kWh를 생산하는데 투입하는 연료량. kg/kWh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