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플랜 B

[Plan B]

1996년 말레이시아의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식 경제 처방인 고금리, 긴축 재정정책을 의미하는 플랜 A의 실패에 대한 대안으로 크루그먼 교수가 내놓은 플랜이며 외환 통제를 통해 금리와 환율을 안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플랜 B는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 경제 혹은 대안 소비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페이-고[pay-go]

    `번 만큼 쓴다'는 뜻의 `pay as you go'의 줄임말이다. 재정지출 총량은...

  •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정부가 오는 2010년대 초반까지 세계 정상급 기술력을 확보하고 동시에 고부가가치 신산업 ...

  • 표준세액공제

    근로자가 연말정산 과정에서 특별세액공제(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나 특별소득공제(...

  • 폴리머 유기발광 다이오드[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O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일종으로 유리 및 플라스틱 기판에 놓인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