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플랜 B

[Plan B]

1996년 말레이시아의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식 경제 처방인 고금리, 긴축 재정정책을 의미하는 플랜 A의 실패에 대한 대안으로 크루그먼 교수가 내놓은 플랜이며 외환 통제를 통해 금리와 환율을 안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플랜 B는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대안 경제 혹은 대안 소비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 프랍 트레이딩[proprietary trading]

    금융회사가 수익 창출을 위해 고객의 돈이 아닌 자신의 돈으로 주식이나 파생상품등의 금융상...

  • 펀드자본주의

    펀드 또는 기관투자가가 기업 경영과 금융시장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

  • 피케팅[picketing]

    노조나 정치단체의 논쟁을 알리거나 지지확보를 위해 플래카드를 들고하는 행위. 법에 저촉이 ...

  • 핌피 현상[PIMFY syndrome]

    ‘Please in my front yard’의 이니셜을 딴 것이다. 핌피 현상이란 수익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