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태적 비일관성
[Dynamic Inconsistency]개인,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가 세운 최적의 선택 계획이 상황 변화에 따라 뒤바뀌는 것을 일컫는 경제학 용어다. 당초 세운 계획이나 규칙이 지켜지지 않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호가 바뀌는 것인데 ''시간선호의 비일관성(time-inconsistency) ’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A보다 B를 선호하던 경제 주체가 나중에 B보다 A를 선호하는 경우 경제학에서는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가 나타났다고 표현한다.
동태적 비일관성은 1970년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면서 이론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정책 당국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경제학자들이 문제 제기를 한 것이 출발이었다.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핀 키들랜드(Finn E. Kydland)와 에드워드 프레스콧(Edward C. Prescott)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대출의 경기순응성[procyclicality]
금융회사가 경기가 좋아질 때 대출을 늘리고 경기가 나빠질 때 대출을 줄이는 속성을 말한다....
-
동태적대손충당금제도
경기가 좋을 때는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고 경기가 나쁠 때는 대손충당금을 적게 쌓도록 허용하...
-
디지털 스페이스 컨버전스[digital space convergence, DSC]
디지털기기·유무선 네트워크·소프트웨어 등 첨단 IT와 디자인감성을 결합해 공간별 목적과 특...
-
데이비드 립턴[David Lipton]
국제통화기금(IMF) 수석부총재로 1997년 외환위기 당시 미국 재무부 차관으로서 한국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