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동태적 비일관성

[Dynamic Inconsistency]

개인, 기업, 정부 등 경제 주체가 세운 최적의 선택 계획이 상황 변화에 따라 뒤바뀌는 것을 일컫는 경제학 용어다. 당초 세운 계획이나 규칙이 지켜지지 않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호가 바뀌는 것인데 ''시간선호의 비일관성(time-inconsistency) ’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A보다 B를 선호하던 경제 주체가 나중에 B보다 A를 선호하는 경우 경제학에서는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가 나타났다고 표현한다.

동태적 비일관성은 1970년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인플레이션이 나타나면서 이론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정책 당국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경제학자들이 문제 제기를 한 것이 출발이었다. 동태적 비일관성 문제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한 핀 키들랜드(Finn E. Kydland)와 에드워드 프레스콧(Edward C. Prescott)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0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대체부품

    자동차제조사 또는 수입사가 판매한 자동차에 쓴 부품(순정품)의 대체품을 말한다. 성능과 품...

  • 도시설계

    도시에 건축물 형태, 규모 등이 불규칙하게 난립하는 현상을 막고 균형있게 건축하게 함으로써...

  •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공시

    전년도 매출액대비 계약금액에 따라 ‘의무공시’와 ‘자율공시’로 구분한다. 코스닥기업...

  • 대체부품 인증제

    자동차 제조사가 차를 만들 때 사용하는 부품과 유사한 품질의 부품(대체부품)을 저렴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