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조업 분야에서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확장으로부터 중소기업의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하려고 하는 제도.

중소기업과 영세상인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 이지만 1979년부터 2006년까지 시행하다가 폐지된 중소기업 고유업종제도와 유사하다.

이명박 정부 때인 2011년부터 시행된 것으로 무역마찰을 피하기 위해 민간협의체 성격을 띤 동반성장위원회가 업종 선정을 맡았다. 고유업종제도는 제조업에 국한 됐으나 적합업종제도는 서비스업까지 규제 대상으로 한다.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선정되면 향후 3년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협의를 통해 대기업의 사업철수 내지는 확장 자제가 이뤄진다.
2016년 기준으로 제조업 56개(김치 두부 어묵 재생타이어 등), 서비스업 18개(제과점 음식점 중고차판매업 등) 등 74개 품목이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지정돼 있다.

관련어

  •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n, PLC]

    전력선으로 음성, 데이터, 인터넷 등을 고속으로 이용할 수 있는 차세대 통신서비스. 이 기...

  • 자유계약선수[free agent, FA]

    소속팀에서 일정 기간 활동한 뒤 다른 팀과 자유롭게 계약을 맺고 이적할 수 있는 선수. '...

  • 자본잉여금[additional paid in capital]

    주주 또는 출자자에 의하여 제공된 납입자본 중 자본금을 초과한 부분을 말하는 것. 주식회사...

  • 전력 수요감축 요청[DR]

    DR은 한국전력거래소와 계약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전력 사용 자제를 요청하는 대신 현금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