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변액보험

[variable life insurance, VL]

고객의 보험료 중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의 금융상품에 투자한 후 그 수익을 계약자에게 나눠 지급하는 실적배당형 보험상품을 말한다.

기존 보험이 보험사들 책임 아래 채권에 투자해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데 반해, 변액보험은 투자결과에 대한 책임이 가입자에게 있으며 높은 수익을 추구한다. 따라서 고객에게 자산 운용 형태 선택권이 주어지지만, 자금 운용에 따른 비용 때문에 기존 보험보다 보험료가 비싸고 때에 따라서는 원금 손실도 일어날 수 있다.

보장 종류와 지급 방식에 따라 변액종신보험, 변액연금보험, 변액유니버설보험 등으로 나뉜다.

  • 법정공휴일

    공적으로 쉬기로 정해진 날이다. 일요일·국경일·1월 1일·설날(음력 1월 1일과 전후 2일...

  • 비가치재[demerit goods]

    재화나 서비스 가운데 일부는 그것을 소비함으로써 얻어지는 효용 또는 쾌락은 과대평가되어 있...

  • 부유식 화력발전소[barge-mounted power plant, BMPP]

    조선소에서 복합화력발전기 완제품을 제작한 뒤 바지선에 탑재해 운영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 반도체[semiconductor]

    전기가 잘 흐르는 도체와 잘 흐르지 못하는 부도체의 중간 특성을갖는 물체를 말한다.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