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연령지표

 

한국경제신문이 창간 37주년을 기념해 발표한 ''기업연령지표''가 기업체들뿐만 아니라 투자자들로부터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기업연령지표는 기업의 설립연도를 기준으로 한 물리적인 나이가 아니라 최근 3년간 매출액 증가분과 설비 연령, 경영자 평균연령 등을 감안해 성장성과 수익성 위주로 종합적으로 평가한 일종의 투자지표를 말한다. 따라서 한 생명체처럼 움직이는 기업의 건강상태나 종합체력이 얼마인가를 나타내주는 유용한 지표다. 한경의 기업연령지표를 읽을 때에는 젊을수록 성장성이, 나이가 들수록 안정성이 뛰어나며 대체로 50대 이상은 쇠퇴기로 이해하면 무난하다.

  • 간접세[indirect tax]

    ① 납세자와 실질적 부담자가 다른 세금. 대표적으로 부가가치세, 주세, 관세 등의 소비세가...

  • 경상소득

    근로·사업·재산·이전소득 등 상시적으로 발생해서 예측 가능한 소득을 말한다.

  • 국민소득의 실질화

    경상가격에 의한 국민총생산을 불변가격으로 환가하여 실질국민소득을 계산하는 것. 국민소득은 ...

  • 국제상품협정[international commodity agreement, ICA]

    국제시장에서 상품가격이 지나치게 변동하지 않도록 생산국과 소비국 간에 생산량이나 가격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