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관리한계

 

불량품과 정품이 갈리는 지점의 값을 관리한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어느 담배회사에서 7cm를 담배 길이로 잡고 6.9~7.1cm 길이의 제품을 정품이라고 규정했다. 이 범위가 바로 관리한계다. 이때 6.9cm를 관리하한선, 7.1cm를 관리상한선이라고 한다.

제품이 모두 이 관리한계에 들어가면 불량은 제로로 간주한다. 관리한계가 엄격할수록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관리도 강하다는 뜻. 관리한계를 넓게 정하면 그만큼 품질이 떨어지게 마련이다.

  • 금융허브[Financial Hub]

    세계 유수의 다국적 기업과 금융기관들이 기업 및 금융 활동을 자유롭고 편하게 할 수 있는 ...

  • 공적부조

    국민의 기본적인 생존권을 보장하려는 취지에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책임하에 공비부담으로 생...

  • 공인회계사[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공인회계사법에 의하여 공인된 국가시험에 합격하고 타인의 위탁에 의하여 회계에 관한 감사·감...

  • 경기[economy]

    경기는 나라 전체의 경제활동 상태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국민경제의 총체적인 활동수준을 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