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채

[government bonds]

국채는 정부가 공공 목적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고자 발행하는 채권이다. 원리금 지급을 정부가 책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회사채보다 위험이 낮고,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안전 자산’으로 분류된다. 만기 기간에 따라 단기국채와 장기국채로 나뉜다.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국채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국고채는 국가의 재정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는 채권으로, 발행 규모와 유통량이 가장 크다.
둘째,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은 외환시장 안정을 목적으로 외국환평형기금이 발행하며, 원화 또는 외화로 표시된다.
셋째, 국민주택채권은 주택도시기금 조성을 통해 서민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채권으로, 대개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방식으로 발행된다.

국채는 한 나라의 신용도를 바탕으로 발행되는 만큼, 그 자체가 국가의 재정 건전성을 가늠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정부가 발행을 보증하는 만큼 안전성은 높지만, 만기 구조나 발행 목적에 따라 세부적인 특성은 달라질 수 있다.

  • 그린푸드존[Green Food Zone]

    어린이 식품안전 보호구역을 말한다. 아이들의 안전한 식생활 환경을 위해 초·중·고교 및 특...

  • 국가보증채무

    각종 기금이 채권을 발행해 돈을 빌려올 때 정부가 상환을 보증하는 것이다. 기금이 부실해져...

  • 계절조정[seasonal adjustment]

    계절적 변동을 제거하여 자료에서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변화에 대한 정확한 관찰을 할 수...

  • 공정거래위원회 가이드라인

    공정거래위원회 소관 법률에 대한 구체적인 준수 방법을 담고 있다. 해당 내용을 따르지 않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