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고정자본형성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기업에서는 지속적인 생산능력을 유지하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노후설비를 새로운 설비로 대체하거나 신규사업에의 진출을 위해 공장도 짓고 기계도 구입하는데, 이러한 경제활동은 당해연도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니고 미래의 지속적 수입 보장 등 장기적인 안목에서 이루어진다. 이렇게 여러 회계연도에 걸쳐 생산에 이용되는 재화를 자본재라고 하며, 생산주체에 의한 자본재구입을 총고정자본형성이라 한다. 총고정자본형성은 산업, 정부서비스생산자 및 민간비영리서비스생산자가 고정자산을 추가하는 데 따른 지출액을 의미하므로 토지나 중고품의 구입은 제외되고 고정자산을 구입할 때 상품가격과 함께 부담한 설치비용이나 취득세 등록세 등의 부대비용은 총고정자본형성에 포함된다.

  • 채권시장안정펀드

    2008년 11월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에 따른 세계 금융시장의 혼란속에 채권시장의 경색되어...

  • 취업성공패키지

    고용노동부의 저소득 취업취약계층(18-64세) 취업 지원 프로그램으로 2009년 시작됐다....

  • 친수구역 사업

    하천과 조화를 이루는 주거 상업 산업 문화 관광 레저시설 등을 건설하는 것으로, 국가나 지...

  • 친환경 농산물 인증제도

    1999년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증을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국립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