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화석가치거래시장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원전, 수소발전과 같이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력회사와 소매 전력사업자를 연결하는 시장이다. 2018년 일본에서 개설됐다.

전력회사는 탄소프리를 공인받고 비화석가치거래시장에 전기를 판매한다. 판매대금은 신재생에너지 증설 등에 사용된다. 일반 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소매 전력사업자는 비화석가치거래시장에서 구입한 전기량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일본정부는 2025년까지 일반 기업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된 전력을 구매할 수 있는 시장을 신설할 계획인데, 비화석가치거래시장을 기업에 개방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전력회사와 소매 전력사업자를 연결하는 이 시장을 일반 기업에 개방하면 기업이 이 시장에서 전기를 구입해 사용하면 제품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았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 부동자금

    투자처를 찾지 못해 시중에 떠도는 돈. 현금과 현금으로 언제든 바꿀 수 있는 요구불예금,...

  •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Vessels, FPSO]

    고정식 석유시추선과는 달리 이동이 자유로우면서도 유전의 시험탐사 및 생산, 석유의 저장,...

  • 본예산

    정부가 회계연도가 시작되기 전 정상적인 절차를 거쳐 맨 처음 편성한 예산. 정상예산이나 통...

  • 베이시스[basis]

    선물가격(futures price)과 현물가격(spot price)의 차이를 말한다. 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