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화석가치거래시장

 

태양광,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와 원전, 수소발전과 같이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전력회사와 소매 전력사업자를 연결하는 시장이다. 2018년 일본에서 개설됐다.

전력회사는 탄소프리를 공인받고 비화석가치거래시장에 전기를 판매한다. 판매대금은 신재생에너지 증설 등에 사용된다. 일반 소비자에게 전기를 공급하는 소매 전력사업자는 비화석가치거래시장에서 구입한 전기량만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일본정부는 2025년까지 일반 기업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된 전력을 구매할 수 있는 시장을 신설할 계획인데, 비화석가치거래시장을 기업에 개방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거론하고 있다.

전력회사와 소매 전력사업자를 연결하는 이 시장을 일반 기업에 개방하면 기업이 이 시장에서 전기를 구입해 사용하면 제품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았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된다.

  • 방역 패스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나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확인서를 가진 사람에 한...

  • 방카슈랑스[bancassurance]

    1. 은행과 보험사가 상호 제휴와 업무 협력을 통해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금융결...

  • 반의사불벌죄

    피해자의 의사와 관계없이 형사상 소추할 수 있지만 피해자가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는 의사를 ...

  • 분수효과

    서민과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총수요 진작과 경기 활성화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고소득층의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