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 비중 상한제
[CAP, CAP]코스피200, 코스피100, KRX300 등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에서 지수 구성 종목 중 1개 종목의 시가총액 비중이 30%를 넘기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규정으로 2019년 6월 한국거래소가 도입했다. "30%룰"이라고도 한다.
특정 종목 1개의 시총이 전체의 30%를 넘어도 30%까지만 지수에 반영된다.
매년 5월과 11월 마지막 매매거래일로부터 직전 3개월간 평균 편입 비중이 30%를 넘어설 경우 6월과 12월 선물 만기일 다음 매매거래일에 비중을 조정한다.
지수를 기초로 만드는 펀드들은 해당 주식의 비중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
2019년 11월말 삼성전자가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의 적용을 받을 경우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 자금의 유출이 불가피하게된다.
-
시스템 프로그래머[system programmer]
컴퓨터 시스템이 운영 체계와 같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고 언어의 처리, 컴파일러 및 자료 ...
-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가격은 유지하면서 제품 크기나 수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춰 사실상 값을 올리는 효과를 거두...
-
선벨트[Sun belt]
미국의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캘리포니아까지 북위 37도 이남지역을 통칭하는 말. 버지니아, 캘...
-
수출증명 프로그램[Export Verification, EV]
쇠고기 등 수출 농산물의 조건이 미국 내 소비용과 다를 경우 이를 증명하기 위해 정부간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