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슬로벌라이제이션

[slowbailzation]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세계화(globalization)의 흐름이 후퇴하는(slow)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에서 최초로 사용했다.
미국을 필두로 자국우선주의와 통상마찰이 확산되면서 슬로벌라이제이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국가간의 재화·서비스 교역량은 2008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대비 61%에서 2018년 58%로 줄었다. 국가 간 은행대출도 2006년 60%에서 2018년 36%로 급감했다. 금융위기 무렵부터 2018년까지 무역·투자·인력 교류 등 12개 세계화 연관지표 중 8개에서 세계화 수준이 후퇴했다.
슬로벌라이제이션은 2019년 다보스 포럼에서 제시된 ‘세계화 4.0’과 같은 의미다.

슬로벌라이제이션으로 대변되는 뉴 노멀 시대엔 한국처럼 대외 환경에 의존하는 국가일수록 불리하다. 미·중 무역마찰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한국이 충격을 많이 받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소득교역조건지수[所得交易條件指數]

    수출 금액으로 수입을 늘릴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순상품 교역조건에 수출수량지수...

  • 생산재[producer goods]

    기업경영 목적으로 구입하는 새 기계 및 장비.생산에 사용되는 영구재다.

  • 사이버 망명[cyber asylum]

    인터넷 게시판, 이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개인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기관의 감청권...

  • 실시간 기업[Real Time Enterprise, RTE]

    실시간 기업(RTE)이란 기업 내ㆍ외부 업무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함으로써 경쟁력을 극대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