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CVVD]

CVVD기술은 엔진 밸브가 열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현대기아자동차가 세계최초로 개발했다고 2019년 7월 발표했다. 이 기술로 엔진 성능과 연비를 개선하면서도 배출가스는 줄일수 있다.

자동차의 엔진은 '흡입-압축-팽창-배기'의 4단계 과정을 통해 연료를 연소시켜 동력을 발생시킨다. 흡기와 배기가 이뤄지는 관문인 밸브를 여닫는 시점과 깊이가 엔진의 성능과 효율을 결정한다. 때문에 자동차 업계는 가변 밸브 제어 기술을 개발해왔다. 밸브의 여닫힘 시점을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술(CVVT), 밸브의 개폐 깊이를 조절해 실린더 내 공기량을 제어하는 연속 가변 밸브 리프트(CVVL) 등이 대표적이다.기존 엔진들은 연비를 우선시하는 아킨슨 사이클, 성능에 중점을 둔 밀러 사이클, 연비와 성능 절충형 오토 사이클 가운데 하나만 선택할 수 있었다. 단일 엔진 사이클을 보유하기에 성능을 높이면 연비가 떨어지고 연비를 높이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했던 것.

CVVD 기술은 밸브 듀레이션을 조절해 세 가지 엔진 사이클을 상황에 따라 모두 구현해 엔진 성능과 연비를 동시에 향상하는 기술이다.

가령 운전자가 정속 주행할 경우 출력을 줄여 연비를 향상시키고 가속 주행을 하면 토크를 최대로 끌어올린다. 한 대의 차가 운전자의 주행에 따라 스포츠카가 되기도 하고 도심 내에서 근거리만 주행하는 시티카가 되기도 하는 셈이다. 이 과정에서 연료 연소율을 높이기에 배출가스도 줄어든다.

  • 응용부담의 원칙[ability-to-pay]

    각종 과세에 있어서 납세자의 부담능력에 맞게 공평한 과세를 해야 한다는 조세원칙. 응능부담...

  • 아메카지룩

    아메리칸 캐주얼을 일본식으로 줄여 부르는 말. 미국의 워크웨어(작업복)가 일본의 복고풍 패...

  • 일반주거지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은 전용ㆍ일반ㆍ...

  • 임장[臨場]

    부동산 물건은 물론 주변 정보(교통, 학군, 편의시설 등)를 확인하기 위해 직접 현장을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