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일반특혜관세제

[generalized system of preference]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수출증대 및 공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개발도상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완제품·반제품에 대해 아무 반대급부없이 일반적으로 관세를 면세해주거나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제도. 1968년 2월 뉴델리에서 열린 제2차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총회에서 채택돼 오늘날까지 시행되고 있다. 현재 개도국에 GSP를 제공하는 국가는 미국· 유럽연합·일본 등 모두 26개국이며 수혜국은 우리나라를 포함, 1백40여 국에 이르고 있다. 수혜기간은 원칙적으로 10년을 한 기간으로 하며 기간이 끝날 때마다 추가로 10년 단위로 연장하는 것이 보통이다.

  • 이력현상[hysteresis]

    경제적 충격 이후에 경제가 회복돼더라도 고용이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이...

  • 유연안정성[flexicurity]

    유연성(flexibility)과 안정성(security)을 결합한 용어로 기업에게는 해고와...

  • 유가증권[securities]

    넓은 뜻으로 그 자체가 재산권 또는 재산적 이익을 받을 자격을 나타내는 증권을 말한다. ...

  • 영국의 연금개혁

    영국은 연금 분야에서 많은 성공과 실패 선례를 남긴 국가로 평가된다.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