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프레드

[spread]

1. (은행) 은행돈을 대출받을 때 금리는 우대금리에 대출자의 신용에 따라 금융기관 수수료를 추가해 결정한다. 이때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스프레드)라고 한다. 따라서 우대금리가 오르면 기존 대출금의 금리도 상승하는 게 보통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신용도가 떨어지면 스프레드가 커진다. 리스크가 큰 만큼 이자를 더 많이 받아야 한다는 논리다.

2. (채권)잔존 만기의 차이에 따른 채권의 수익률 차이. 또는 만기는 동일하나 기타 조건이 다른 증권의 수익률 차이.

3. (주식) 매도와 매수 가격의 차이. 또는 주어진 특정기간중 특정주식의 최저가격과 최고가격의 차이.

4. (주식인수) 새로운 증권의 발행자가 받는 금액과 발행된 증권을 구매하는 투자가가 지불하는 가격의 차이.

관련어

  • 순조정처분가능소득

    순처분가능소득에 사회적 현물이전순수취액을 더한 값.

  • 스냅드래곤 라이드[Snapdragon Ride]

    퀄컴 2020년 1월 6일(현지시간)‘CES 2020’ 글로벌 프레스 콘퍼런스를 통해 공개...

  • 선행의장[pre-outfitting]

    선행의장(Pre-Outfitting)은 조립 완료된 블록(block) 내·외부에 각종 파이...

  • 스위프트노믹스[Swiftonomics]

    미국 팝가수 테일러 스위프트의 공연 및 활동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하는 용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