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드라이브 라인

[Driveline]

삼성전자가 개발한 자율주행 솔루션.
자율주행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과 센서, 소프트웨어 등을 선택해 모듈 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일종의 플랫폼이다. 2018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 CES 2018에서 처음 공개됐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드라이브 라인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가 분류하는 자율주행 기준 가운데 3~5단계 수준을 구현할 수 있다. SAE의 자율주행 기준에서 3단계는 ‘조건부 자율주행’이다. 특정 조건에서는 운전자가 개입해야 한다. 4~5단계는 사실상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는 수준을 말한다.
드라이브라인에는 미국 전장업체 하만과 공동 개발한 주행보조시스템(ADAS) 전방 카메라 장치가 달렸다. 차선이탈 경고, 전방충돌 경고, 보행자 감지, 긴급 자동 제동 등이 가능하다.

  • 담합과 리니언시[price-]

    담합은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짜고 가격이나 생산량을 결정하거나 거래상대방을 제한함으로써 ...

  •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

    디지털 포용이란 누구나 정보통신기술(ICT)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접근성, 역량, 기회...

  • 대통령 권한대행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통령이 궐위되거나 사고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해당 권한...

  • 뒤베르제의 법칙[Duverger''s law]

    최다득표제를 선거제도로 운영하는 국가에서는 대체로 양당체제라는 특성이 나타난다는 법칙.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