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문의

[board-certified physician/surgeon]

의사면허를 취득한 일반의, 전문의 과정을 거친 후 내과 외과 등 26개 진료과목별 자격시험에 합격한 의사.

전문의가 되려면 인턴 1년과 레지던트 3-4년 과정을 수료하고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전문의 비율이 높다.

공공기관 채용률이 높은 국가와 달리 민간의료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은 개원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때문이다.

관련어

  • 증권관리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유가증권의 발행과 관리를 비롯하여 공정한 거래와 증권관련기관들의 감독에 관하여 증권거래법에...

  • 잭슨홀 콘퍼런스[Jackson Hole Conference]

    미국 캔자스시티 연방은행이 매년 8월 주요국 중앙은행 총재와 경제전문가를 와이오밍주 해발 ...

  • 정부보증채

    발행기관이 채무를 갚지 못하는 경우 정부가 책임지겠다며 빚보증을 서는 채권을 말한다. 19...

  • 적정환율

    우리 경제의 대외부문과 대내 부문의 균형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환율 수준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