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문의

[board-certified physician/surgeon]

의사면허를 취득한 일반의, 전문의 과정을 거친 후 내과 외과 등 26개 진료과목별 자격시험에 합격한 의사.

전문의가 되려면 인턴 1년과 레지던트 3-4년 과정을 수료하고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전문의 비율이 높다.

공공기관 채용률이 높은 국가와 달리 민간의료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은 개원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때문이다.

관련어

  • 자회사형 표준사업장제도

    기업이 장애인고용을 목적으로 자회사를 설립하면 자회사에 고용된 장애인을 모회사가 고용한 것...

  • 재무설계

    자신의 소득의 범위를 고려하여 소비와 저축을 합리적으로 설계하고, 은퇴 후의 노후 생활까지...

  • 잠재 GDP

    한 나라의 경제가 인플레이션을 일으키지 않고 생산할 수 있는 최대 생산량을 의미하며, 경...

  • 지식기반경제[knowledge-based economy]

    지식이 개별 경제주체 및 국민경제 전체의 성과와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