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문의

[board-certified physician/surgeon]

의사면허를 취득한 일반의, 전문의 과정을 거친 후 내과 외과 등 26개 진료과목별 자격시험에 합격한 의사.

전문의가 되려면 인턴 1년과 레지던트 3-4년 과정을 수료하고 전문의 자격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해외에 비해 전문의 비율이 높다.

공공기관 채용률이 높은 국가와 달리 민간의료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은 개원을 염두에 두고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때문이다.

관련어

  • 정부위탁기관

    정부 예산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정부의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거나 특정한 사업을 운영 하는 ...

  • 자기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광반도체 일종. 응답속도가 빠르고 태양광에 가장 가까우며 같은...

  • 자기자본총량규제

    주식이나 채권을 잔존기간, 발행기관, 소속부 등에 따라 사전에 정해진 위험환산율을 적용해 ...

  •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의사가 직접 컴퓨터에 환자의 임상진료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입력하면 이 자료를 모두 데이터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