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행동주의 투자

[activist investment]

지배구조가 좋지 않거나 경영상의 비효율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투자해 일정 수준의 의결권을 확보한 뒤 사업전략 변화나 구조조정, 지배구조 개선 등을 유도해 단기간에 기업가치를 높여 수익을 올리는 투자 행태를 뜻한다.

기업가치가 오를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적극적인 경영 개입을 통해 이를 실현시킨다는 의미에서 행동주의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 향미증진제

    MSG처럼 식품의 풍미를 돋우기 위해 쓰이는 조미료의 역할을 하는 식품첨가물들을 가리키는 ...

  • 핵심생산인구[prime age worker]

    생산가능인구(15~64세) 중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기인 25~49세에 해당하는 인구다...

  • 호모나랜스[homo-narrans]

    호모나랜스는 ''생각하는 사람''인 ''호모사피엔스(homo-sapiens)''의 반대 개...

  •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

    한국증권거래소를 비롯 코스닥,한국선물거래소,코스닥위원회가 합병된 통합거래소를 말한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