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계소비성향

[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

추가 소득 중 저축되지 않고 소비되는 금액의 비율이다. 추가 소득 중 저축되는 금액 비율은 한계저축성향(MPS)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한계소비성향(MPC)이 0.5라면 추가로 벌어들이는 100만원의 수입 중 50만원을 소비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많은 사람이 소득이 적은 사람에 비해 한계소비성향이 낮고 한계저축성향은 높게 나타난다. 또한 인플레이션 때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난다.

한계소비성향이 높을수록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해 경제의 소비증대 효과가 크다. 따라서 한계소비성향이 높을수록 재정정책의 효과가 커진다.

  • 한경 펀드매니저 서베이

    국내 유일한 정기적 펀드매니저 대상 설문조사로 한국경제신문이 2020년 12월부터 분기마...

  • 한국형 실업부조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생계 보장과 취업 지원을 위한 급여를 주는 제도로 2020년부터 시행될...

  • 핵심감사제[key audit matters, KAM]

    외부감사인이 기업의 회계감사를 진행하면서 가장 중요하거나 위험하다고 판단한 부분, 이른바 ...

  • 화이트 바이오[White Biotechnology, white BT]

    옥수수, 사탕수수, 목재류 등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하여 탄소저감 효과가 큰 바이오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