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자제품 위탁생산

[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s, EMS]

EMS는 OEM(주문자)의 설계 도면에 따라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조립·검사·납품까지 일괄 제공하는 제조 전문 서비스 산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다른 회사의 브랜드로 판매되는 제품을 대신 만들어주는 ‘얼굴 없는 산업’이다.

EMS는 초기에는 스마트폰, PC, TV 등 제품 수명주기가 짧고 생산기술이 표준화된 정보통신기기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일반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또한 단순 조립(Assembly)에 머물렀던 과거와 달리, 설계·기획·개발 등 상위 단계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EMS는 제품의 디자인이나 부품업체 선정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ODM(제조자개발생산)과 구분된다. ODM은 주문자의 요구에 맞춰 자체적으로 설계와 부품 조달을 수행하지만, EMS는 OEM이 제공한 설계에 따라 생산만 담당한다. 따라서 생산한 제품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 주력기업

    금융·세제상의 일정한 혜택과 공장건립시 각종 지원을 받는 대규모 기업집단소속 기업을 말한다...

  • 자사주[treasury stock]

    회사가 보유한 자사 발행 주식. 의결권이 없지만 제3자에 매각하면 의결권이 되살아난다. ...

  • 주택구매능력

    연간 가계 평균소득 대비 주택 중간가격 배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수치가 낮을수록 주택구...

  • 적립식펀드투자

    매달 일정액을 불입해서 주식이나 채권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은행의 적금과 증권식투자의 장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