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전자제품 위탁생산

[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s, EMS]

EMS는 OEM(주문자)의 설계 도면에 따라 전자제품을 생산하고, 조립·검사·납품까지 일괄 제공하는 제조 전문 서비스 산업을 말한다. 다시 말해, 다른 회사의 브랜드로 판매되는 제품을 대신 만들어주는 ‘얼굴 없는 산업’이다.

EMS는 초기에는 스마트폰, PC, TV 등 제품 수명주기가 짧고 생산기술이 표준화된 정보통신기기에서 시작되었으나, 현재는 일반 제조업 전반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또한 단순 조립(Assembly)에 머물렀던 과거와 달리, 설계·기획·개발 등 상위 단계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EMS는 제품의 디자인이나 부품업체 선정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 ODM(제조자개발생산)과 구분된다. ODM은 주문자의 요구에 맞춰 자체적으로 설계와 부품 조달을 수행하지만, EMS는 OEM이 제공한 설계에 따라 생산만 담당한다. 따라서 생산한 제품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 증축

    기존 건축물이 있는 대지에서 건축물의 건축면적, 연면적, 층수 또는 높이를 늘리는 것을 말...

  • 재정준칙

    국가채무 등 재정지표가 일정 수준을 넘지 않도록 강제하는 일종의 규범이다. 유럽에서 재정준...

  • 자발어음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스스로 발행하는 어음. 종금사가 시중자금을 끌...

  • 직접주문전용선[direct market access, DMA]

    증권사 딜러의 주문처리 작업을 거치지 않고 증권사 시스템을 통해 바로 한국거래소로 주문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