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초단타매매

[high-frequency trading, HFT]

주가나 파생상품의 미세한 가격 변동을 이용해 1초에 수백번에서 수천번까지 매매해 수익을 올리는 거래방식. 다른 거래자가 낸 매수호가보다 낮은 가격에 먼저 주식을 산 뒤 해당 호가에 되파는 거래도 가능하다. 거래속도를 높이기 위해 슈퍼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거래소와 가까운 지역으로 옮기기도 한다. 속도가 너무 빨라 알고리즘(algorithm · 프로그램을 이용한 매매전략) 이용이 필수이다.

대량의 주문과 주문취소·정정이 지극히 짧은 시간에 반복되는 데 허수성 호가가 이뤄지면서 불공정거래가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2010년 5월 6일 미국 증시 순간폭락(flash crash) 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했으며 '고빈도 매매'나 '플래시(Flash) 트레이딩'이라고도 한다.

초단타 매매 현황
글로벌 증시에서 초단타매매(고빈도매매) 비중은 갈수록 늘고 있다. 미국 등 거래세가 없는 선진 시장에선 고빈도매매 거래 비중이 50%를 훌쩍 넘는다. 고빈도매매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주고, 불합리한 가격 괴리를 막아주는 순기능이 있어 각국은 대체거래소(ATS)를 통해 적극 유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예기치 않게 시장에 충격을 주는 사태가 발생하는 부작용도 나타난다. 2010년 5월 6일 미국 다우지수가 특별한 악재도 없이 거래 종료를 15분 남기고 순식간에 998.5포인트(약 9%) 폭락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이를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라고 한다. 모두 알고리즘에 기반한 고빈도매매가 원인으로 지목됐고, 일부에서는 불공정거래 혐의가 불거졌다.

해외 주요국에선 이런 부작용을 막기 위해 고빈도매매 규제 방안을 고민해왔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2010년 플래시 크래시 사태를 계기로 11월 고빈도매매 규제장치를 마련했다.유럽연합(EU)은 더 강력한 통제권한을 갖고 있다. 2016년 개정된 유럽증권시장청(ESMA)의 ‘금융상품투자지침Ⅱ(MiFID Ⅱ)’는 고빈도매매 전략을 쓰는 거래자에게 주문과 취소 내역을 보존할 의무를 부과했다. 일정한 유형의 거래를 제한할 수 있는 권한도 갖췄다. 일본은 고빈도 거래자들의 자율규제 기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

한국에선 고빈도매매 관련 대응책이 전혀 없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김준석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주식시장에서도 거래세가 낮아지고 ATS도 생길 예정이어서 고빈도매매 비중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관련어

  • 총부채상환비율[debt to Income, DTI]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득을 기준으로 금융회사로...

  • 총수익스와프[total return swap, TRS]

    계약 당사자가 주식 등 기초자산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비용을 상호 교환하는 약정. 일반적으로...

  • 차입의존도

    장·단기차입금에 회사채 발행금액을 더한 수치를 총자본으로 나눈 비율. 부채비율, 자기자본비...

  • 차베스 효과[Chavez effect]

    차베스 효과란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 가운데 초강경파로 알려진 우고 차베스 베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