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초과사망

[Excess mortality]

초과사망은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사망자 수가 과거 동일 기간의 평균 사망자 수보다 많이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전염병 유행, 자연재해, 사회적 변화 등 예상치 못한 외부 요인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초과사망은 단순히 사망자 수 증가를 넘어 사회 전체의 건강 상태와 시스템 취약성을 드러내는 지표가 된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많은 국가에서 초과사망이 급증했는데, 이는 의료 시스템 부담 증가, 기저 질환 악화, 사회경제적 어려움과 관련이 있다.

초과사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초과사망자 수를 해당 기간의 총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인구 규모를 고려하여 초과사망 정도를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 체감정기보험

    특정기간동안 납입하는 보험료는 동일하나 보험금액이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상품을 말...

  • 취약 5개국[fragile 5]

    외환시장이 취약한 5개국으로 인도, 남아공, 터키,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이었으나 2016...

  • 총주주수익률[total shareholder return, TSR]

    주주에 대한 가치창출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 일정 기간 동안 한 기업의 주가 변동(주식평가...

  • 채무보증제한

    직전사업연도의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회사가 계열회사의 국내금융기관여신에 대해 채무보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