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모노즈쿠리법

 

모노즈쿠리는 ''''혼신의 힘을 다해 최고품질 제품을 만든다''''라는 뜻으로 지금은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일본중소제조업의 특징을 통칭하는 용어로 모노즈쿠리 법은 일본이 2006년 4월 시행한 중소기업지원법을 말한다. 금형 등 6대 분야를 20개 부문으로 세분화해 지원한다. 각 분야에 속한 기업이 산업 고도화를 위한 사업계획서를 내면 정부가 타당성 여부를 검토해 연구·개발(R&D)비용, 정책자금 등을 지원한다. 정책자금은 최대 30억원, R&D비용은 3년간 최대 10억원가량을 지원한다.

일본은 산업화를 이끈 ''''단카이세대(2차대전 후 베이비붐 세대)''''가 잇따라 은퇴하면서 장인들이 급감한 데다 대기업들이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으로 부품 아웃소싱을 늘리면서 제조업의 뿌리가 흔들린다는 위기감이 고조됐었다. 여기에 자동차 등 주요산업 부문의 불량률이 높아지는 등 문제가 가시화되자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제정된 것이다.

  • 멀티프로세싱[multiprocessing]

    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하나의 컴퓨터 내에 여러 개의 프로세서(CPU)를 ...

  • 매몰비용[sunk cost]

    한 번 지불하고 나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뜻한다. 이미 지불해 어떤 선택을 하든지 피할...

  • 민간근무휴직제도

    공무원 사회에 민간 기업의 경영 기법 및 업무 수행 방법 등을 도입하고, 민·관 인사 교류...

  • 매체계획[media plan]

    광고계획에 이용되는 매체를 명확하게 하는 것. 매체계획은 매체대상을 기술하고 특정한 시간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