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험성향지수

[Risk Appetite Index]

금융시장의 위험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수로 개별 상품의 리스크 프리미엄(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 데 따른 수익)을 기초로 산정된다. 리스크에 따른 상품 및 거래의 수익률 변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수의 기초 대상이 되는 상품은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현물시장을 총망라한다. 한국거래소변동성지수(VKOSPI)와 코스피200지수 선물·옵션을 비롯해 각종 채권의 수익률, 원·달러 환율, 금리·통화 스와프, 국제 금 시세 등 15가지 정도의 지표를 포함한다. 안전자산인 국고채에 투자자가 몰려 국고채 수익률이 떨어지면 위험성향지수가 낮아지는 반면, 위험자산인 코스피200지수옵션 투자가 늘어나면 지수가 올라가게 된다.

  • 앱공정성연합[The Coalition for App Fairness]

    구글 플레이와 앱스토어의 높은 수수료 정책 및 불합리한 운영 정책 등에 문제를 제기하고 관...

  • 업종전문화

    국내 대기업 그룹들이 경쟁력 있는 2~3개의 주력업종을 선정, 이들 부문에 집중 투자함으로...

  • 요소와 요소수

    요소는 무색 무취의 결정으로 암모니아에 이산화탄소를 집어넣어 만든다. 요소수는 요소에...

  • 유전자정보은행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DNA를 채취한 다음 개인마다 고유한 유전자 부위를 분석해 특정한 유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