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험성향지수

[Risk Appetite Index]

금융시장의 위험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수로 개별 상품의 리스크 프리미엄(투자자가 위험 부담을 감수하는 데 따른 수익)을 기초로 산정된다. 리스크에 따른 상품 및 거래의 수익률 변화를 통해 투자자들의 움직임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수의 기초 대상이 되는 상품은 주식·채권·외환·파생상품·현물시장을 총망라한다. 한국거래소변동성지수(VKOSPI)와 코스피200지수 선물·옵션을 비롯해 각종 채권의 수익률, 원·달러 환율, 금리·통화 스와프, 국제 금 시세 등 15가지 정도의 지표를 포함한다. 안전자산인 국고채에 투자자가 몰려 국고채 수익률이 떨어지면 위험성향지수가 낮아지는 반면, 위험자산인 코스피200지수옵션 투자가 늘어나면 지수가 올라가게 된다.

  • 의제배당[擬制配當, fictitious dividend]

    상법으로는 배당이 아니면서 세법상으로는 배당으로 간주되는 것을 뜻한다. 의제배당은 잉여금의...

  • 연결되지 않을 권리[the right to disconnect]

    근무시간 외에 전화, 문자, 메신저 등 전자적 수단을 통한 업무 연락에 응답하지 않을 권리...

  • 유로클리어 은행[Euroclear Bank]

    세계 최대의 국제증권예탁결제기관으로서 1968년 설립됐다. 본사는 벨기에 브뤼셀에 있으며 ...

  • 에너지 효율관리제도

    기후협약에 대비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가정, 상업부문에서 에너지 사용량이 많거나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