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유치권

 

유가증권이나 건물 등의 물건에 관해 받을 돈이 있는 사람이 돈을 받을 때까지 물건을 점유하고 타인에게 내주지 않을 수 있는 권리다. 경매를 통해 낙찰을 받았더라도 유치권을 가진 사람이 있을 경우 빚을 대신 갚아줄 수밖에 없다. 등기부에 기록되지 않아 입찰 전 권리분석을 꼼꼼하게 해야 한다. 허위로 유치권을 주장하는 사례도 많아 법적 분쟁을 양산한다는 지적을 받아온 부동산 유치권이 폐지될 전망이다.

2010년 10월 법무부는 유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대상에서 부동산을 원칙적으로 제외하고 다만 미등기 부동산에 대해선 저당권을 설정할 때까지 한시적으로 유치권을 인정해 주기로 했다.

  •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어떤 제품이나 솔류션 등에 탑재돼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 인링크[in-link]

    뉴스를 포털 사이트를 통해 보여주고 댓글도 이 사이트에서 달게 하는 방식이다. 반면 아웃링...

  • 영업용 순자본 비율

    자금의 조달 및 운용에 있어 증권사들이 어느 정도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비교 평가...

  • 융합실내측위[fused indoor localization, FIN]

    5세대(5G) 이동통신이나 LTE(4세대 이동통신) 등 모바일 네트워크 신호를 활용해 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