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인리히 법칙

[Heinrich's law]

1930년대 초 미국 보험회사의 관리 감독자였던 하인리히(H.W.Heinrich)가 주창한 법칙. 그는 5,000여건의 산업재해를 분석해 본 후 "1 대 29 대 300"이라는 하인리히 법칙을 만들었다. 이는 대형사고 1건이 발생하기 전에 같은 요인으로 유사한 29건의 경미한 사고가 있었고 경미한 사고 이전에는 같은 원인에서 비롯된 사소한 증상들이 300건이나 있었다는 것이다.

하인리히 법칙은 위기는 우연히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게 아니라 그 이전에 반드시 경미한 사고들이 반복되는 과정 속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소한 변화를 미리 감지하고 잘못된 점을 고치면 이후에 닥칠 수 있는 큰 위기를 방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방치하면 훗날 돌이킬 수 없는 사고로 번질 수 있다는 것이다.

  • 후지야마본드

    2015년 일본에서 발행을 검토중인 위안화표시채권으로 일본을 대표하는 후지산에서 명칭을 따...

  • 헤저[hedger]

    의사결정 시점과 그 결정이 실현되는 시점 사이에 발생하는 가격변화에 의한 위험(가격위험)에...

  • 협의통화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언제라도 현금화할 수 있는 예금을 더한 것...

  • 환매수수료

    수익증권에 돈을 입금한 뒤 다시 꺼내는 것을 증권 전문용어로 환매라고 한다. 만기 때 찾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