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은특융

 

한국은행이 특별한 목적으로 시중은행에 지원해주는 낮은 금리의 자금을 말한다. 특별한 목적이란 ‘통화와 은행업이 직접적으로 위협받는 중대한 긴급상황시’ 이를 지원하는 것을 가리킨다(한은법 69조 3항). 한은특융은 금융통화운영위원 과반수인 5명 이상의 찬성으로 대출할 수 있다. 한은은 일반은행 대출금리(재할인금리)가 연 5%선인 데 비해 특융금리는 통상 이보다 낮은 선에서 결정된다. 이는 통화신용질서가 중대한 위기에 빠지거나 은행업이 도산위험에 처할 만큼 어려울 때 지원되는 자금이기 때문이다. 한은특융은 통화증발의 우려가 있어 통화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972년 8·3조치, 1985년 부실 해외건설업체 지원 때, 1992년 증시침체로 위기를 맞은 투자신탁회사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특융이 지원됐다.

  • 후성유전[epigenetics]

    인간의 생명현상이 DNA 염기서열에 담긴 유전정보 그대로 일어나지 않고 살면서 겪는 환경의...

  • 회계연도[fiscal year]

    국가의 세입·세출을 구분, 정리하기 위해 정한 일정 기간을 말한다.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기...

  • 흑사병[plague]

    페스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 감염병이다. 페스트균에 감염된 쥐에 기생하는 벼룩이 쥐...

  • 항체 바이오시밀러

    몸속에 있는 항체처럼 병을 유발하는 ‘원인 단백질’을 무력화시키는 항체의약품의 복제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