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피크 오일

[peak oil]

석유 생산이 최고점에 이른후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점을 말한다.

석유생산 정점이후에는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는데 이는 신규유전발견의 부진,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의 감소, 전쟁 등의 요인에 기인한다.

피크 오일 이론은 미국 지질학자 M.킹 허버트가 1956년 처음 제시했다. 그는 미국 석유 생산량이 1970년대 중반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미국 석유 생산량은 1970년대 후반에 정점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 새로운 석유 매장량 발견으로 인해 세계 석유 생산량은 2000년대 초반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세계 석유 생산량도 곧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3년 보고서에서 세계 석유 수요가 2030년에 정점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크 오일이 언제 발생할지는 불확실하지만, 피크 오일이 발생하면 에너지 가격 상승, 경제 성장 둔화, 사회 불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피의자 사진 공개제도[police photograph, mugshot]

    피의자가 자신의 죄수번호를 들고 정면을 바라본 모습을 찍어 공개하는 제도. mugsh...

  • 퍼블리시티권[right of publicity]

    자신의 사진이나 이름 등을 다른 사람이 무단으로 이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권리. 초상...

  • 평균 회귀[mean reversion]

    금리에 균형 수준이 존재하고 금리는 이러한 균형 수준보다 약간 올랐다가 다시 내려오고 균형...

  • 폴리널리스트[polinalist]

    정치(politics)와 언론인(journalist)을 합성한 용어로 언론 활동을 바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