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계저축률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을 제한 나머지의 비율.



일반적으로 플러스를 기록하지만 신용을 통한 차입이나 예금인출, 투자자산의 매각 등을 통해 가처분소득을 상회하는 지출을 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고도성장기였던 1975년 7.5%에서 1988년 25.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떨어지기 시작해 2000년대 들어 금리하락과 함께 10% 미만으로 낮아졌다가 2021년 현재 11.6%를 기록했다.

관련어

  • 금액가중수익률[amount-weighted yield]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에 대한 수익률. 기간별 투자 수익금 평균으로 수익률을 평가한다. ...

  • 기업구조조정투자회사[Corporate Restructuring Vehicle]

    금융기관이 기업대출금을 출자 전환해 줄 경우 그 주식을 사주거나 관리를 맡아주는 회사다. ...

  • 기반시설부담구역

    개발행위가 집중되어 기반시설 부족이 예상되는 지역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하여 개발행위자...

  • 기간제 근로자

    하루 또는 한 달 등으로 일할 기간을 미리 정해놓고 그 기간 동안 일한 대가를 받는다.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