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저축률
세금과 이자 등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을 제한 나머지의 비율.
일반적으로 플러스를 기록하지만 신용을 통한 차입이나 예금인출, 투자자산의 매각 등을 통해 가처분소득을 상회하는 지출을 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가계저축률은 고도성장기였던 1975년 7.5%에서 1988년 25.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떨어지기 시작해 2000년대 들어 금리하락과 함께 10% 미만으로 낮아졌다가 2021년 현재 11.6%를 기록했다.
관련어
- 참조어순조정처분가능소득
-
경제총조사
통계청이 국내 전체 산업의 구조와 경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상점 음식점 의원 등 개별 사...
-
금리캡과 금리플로어
시중금리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 "금리캡(Cap)과 금리플로어(Floor)"를 이용한 파생...
-
경성 카르텔[hard core cartel]
경제활동의 효율 창출이나 제고를 내포하지 않은 경쟁자간의 협력행위를 말한다. 즉, 독점력의...
-
근로자의 날[May Day]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의욕을 높이기 위해 제정된 날로 노동절이라고도한다. 원래 유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