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미수금

 

1. 미수금은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일반적 상거래, 즉 당해 회사의 사업목적 이외의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미수채권을 말한다. 상품이나 제품 이외의 자산 등 유휴자산이나 불용자산을 매각할 때 발생한 채권으로 이는 일반적, 일상적 거래에서 발생하는 채권인 외상매출금과 구별된다. 영어의 표기는 `outstanding[unpaid, uncollected] amount'로 한다.

2. (증권)고객이 증권회사에 납부해야 할 현금 또는 유가증권의 부족액을 말한다. 주식을 살 때 매수대금의 일부만 현금으로 내면 된다. 그 비율이 위탁증거금률이다. 주식거래 대금은 매매가 이루어진 날로부터 3일째 되는 날 결제된다. 3일 동안 외상거래가 가능하다. 주식을 사겠다고 주문을 낸 투자자가 3일째 되는 날 대금을 내지 않으면 미수금으로 처리된다. 미수금이 생기면 증권회사는 곧바로 정리하도록 돼 있다. 해당 고객이 산 주식을 결제일 다음날(매수일로부터 4일째 되는 날) 오전 동시호가 때 하한가에 ‘팔자’ 주문을 내야 한다. 이것을 반대매매라 부르며 반대매매를 통해 팔린 주식대금은 반대매매일로부터 3일째 되는 날 결제되므로 이틀 동안은 미수금으로 잡힌다.

원래 고객이 매수주문을 낸 날로부터 따지면 4, 5일째 미수금으로 처리됐다가 6일째 되는 날 완전히 정리되는 셈이다. 증권사는 미수금에 대해 연 19%의 높은 연체이자를 물린다. 미수금은 주가가 상승추세를 보일 때 늘어나는 게 보통이다. 투자자가 가진 자금 이상으로 매수주문을 내 반대매매를 당하더라도 상승세가 강하면 매매차익을 얻을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영어 표현은 `account receivable'이다.

  •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

    무형자산은 물리적 존재형태가 없는 자산으로서 장래의 경제적 효익의 가치와 존속기간이 다른 ...

  • 무역자유화[liberalization of trade]

    무역자유화란 수출입의 자유화를 의미하지만 무역에 대한 통제가 주로 수입통제에 집중되고 있으...

  • 묵자호

    중국이 2016년 8월16일 세계최초로 발사한 양자통신 실험위성. 중국 고대 철학자 '묵...

  • 매체통합 확장배너[Rich-media expanding banners]

    플래시나 엔리븐, 쇽웨이브, 자바 기술을 통해 오디오와 비디오, 애니메이션,사진 등을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