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글로벌 불균형

[global Imbalance]

중국,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과 중동 산유국들이 미국과의 무역에서 대규모 흑자를 기록하고, 미국 등 수입국은 대규모 경상수지 적자가 누적되는 형상을 말한다. 무역 흑자를 통해 거둬들인 달러로 미국 국채를 매입하는 현상을 말한다.

아시아 국가들 입장에서는 대규모의 달러화가 국내에 풀리면 환율절상을 피할 수 없고 그러면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이 약화되기 때문에 달러화를 외환보유액으로 보유하고 싶어 한다. 외환보유액을 유동성 높은 안전자산인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것이다. 미국 입장에서는 국내총생산(GDP)의 6%에 달하는 기록적 수준의 경상수지 적자를 국채 발행으로 메꾸고 있는 셈이다.

글로벌 불균형은 미국의 과잉소비와 아시아 국가들의 과잉저축이 빚어낸 결과물이다. 이런 구조가 미국의 부동산 거품이 꺼지면서 깨져 세계경제 위기가 초래됐다는 것이다.

  • 개구리밥[duckweed, Wolfia]

    연못이나 논 등 물 위에 떠서 사는 부유성 수생식물. 부평초라고도 불린다. 개구리가 사는 ...

  • 가계지출[family expenditure]

    한 가구를 형성하는 가족이 경제활동을 하는데 지출하는 금액의 총합. 소비지출과 비소비지출로...

  • 강제경매

    일반 채권자가 법원의 확정 판결이나 공정증서 등 집행권원을 제출해, 채무자의 부동산을 강제...

  • 굴뚝산업[smokestack industry]

    철강과 자동차 산업에 의해서 대표되는 중공업. 이 말은 이러한 산업이 그들의 영업활동을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