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서비스표

 

상표는 상품을 생산 또는 판매하는 법인이나 개인이 타인의 상품과 식별하기 위해 기호 문자 도형 입체형상 색채를 결합해 만든 식별표지다. 상표가 상품의 특성을 구별해준다면 서비스표는 금융 통신 운송 요식업 의료 같은 서비스업(용역)의 특징을 대변해주는 식별표지다. 서비스표도 넓게 보면 상표의 하나다. 상표나 서비스표는 특허청에 출원해 등록받아야 독점적 권리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2016년 특허청은 2016년 9월 1일부터 26년간 사용하던 상표법을 개정하여 서비스표의 정의를 삭제해 상표로 일원화 했다. 상표를 자기의 상품 또는 서비스 등과 타인의 상품 또는 서비스 등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장(標章)으로 정의하고, 표장의 구성이나 표현방식에 제한이 없도록 한 것이다. 이는 미국·유럽 등의 정의 방식과 같은 것으로 상표가 상품의 출처를 나타내는 본연의 기능을 한다면 그 표현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모두 상표가 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이다.

  • 스마트 콘트랙트[smart contract]

    거래 당사자 간의 계약을 프로그램 코드로 체결해 이행을 강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

  • 신용분석가[credit analyst]

    신용가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인 또는 법인의 금융거래를 분석하는 사람. 채권발행자의 금융상...

  • 상승장악형[Bullish Engulfing]

    캔들챠트의 상승반전형중 하나. 형태상으로 두 번째 봉에 의해 첫 번째 봉이 감싸이는 것을 ...

  • 샤프지수[Sharp Ratio]

    한 단위의 위험자산에 투자해서 얻는 초과수익률의 크기로써 펀드운용성과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