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비정규직 보호법

[非正規職 保護法]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크게 늘어난 비정규직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정 및 개정된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을 비롯해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노동위원회법''을 말하며 2007년 7월1일 시행에 들어갔다.

기간제(계약직) 근로자로 2년 이상 일하면 사용주가 사실상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 하지만 노동계는 이 법들이 임시직 사용사유를 제한하지 않고, 차별해소 방안도 실효성이 없어 비정규직을 더욱 확산시킬 것이라며 이의 개정을 주장해왔으며, 사용자측에서도 고용기간 2년 초과시 무기계약으로 간주하는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에 역행하는 처사라며 반발해왔다.

이 법은 2007년 7월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시행됐으며, 2008년 7월에는 100인 이상 사업장으로 2009년 7월1일부터는 5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됐다.

  • 박스권

    일정 기간 주가가 최고고점과 최저저점을 벗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등락을 반복할 때 박스권에서...

  • 바이오매스[biomass]

    에너지로 전용할 수 있거나 특정 공정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농작물, 폐기물, 목재, 생...

  • 비트코인캐시[bitcoin cash, BCH]

    2017년 8월 비트코인에서 분할(하드포크 hardfork)돼 거래되는 가상화폐 . 비트...

  • 본질주의자[essentialist]

    친구나 가족과의 연락’이라는 인맥구축 사이트 본연의 목적에 충실한 일반 이용자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