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용부도스와프

[Credit Default Swap, CDS]

채권발행사가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상환 받을 수 있도록 한 보험 성격의 신용파생상품.

예를 들어 A은행은 B기업에 10억원을 대출하면서 B기업의 부도를 대비, C금융업체와 CDS 거래를 할 수 있다. 즉 A은행은 연간 일정 수수료를 C금융업체에 지불하고, 대신 C금융업체는 B기업이 부도를 냈을 때 10억원을 A은행에 갚아 주기로 하는 계약이다.

B기업은 그만큼 자금 융통이 쉬워지고 A은행은 대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C금융업체는 수수료 수익을 챙긴다. 반면 C금융업체가 부실화되면 A은행까지 연쇄적으로 부실화되는 맹점이 있다.

그런 보증의 대가로 채권자가 C금융업체에 지불하는 수수료가 CDS 프리미엄이다. 즉, 채무보증에 대한 보험료가 CDS프리미엄이다.

관련어

  • 실기주

    넓은 의미로는 청산기일 또는 신주인수권 배정기준일까지 명의개서가 되지 않은 주식을 말한다....

  • 상호부금

    제도상 정기적금과 비슷하나 일정회차 이상 부금을 납입한 경우에는 일정 금액을 융자받을 수 ...

  • 소내부하운전[house load operation, HLO]

    발전소내 원자로는 가동하고 있지만 송전 선로 이상 등으로 전력을 내보내지 않은 상태로 원자...

  • 수산업협동조합[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어업인과 수산물가공업자의 지위향상과 어업 및 수산물가공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1962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