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수소연료전지

[hydrogen fuel cell]

수소를 공기 중 산소와 화학반응시켜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

물을 전기분해하면 전극에서 수소와 산소가 발생 되는데, 연료전지는 이러한 전기분해의 역반응을 이용한 장치다. 석유·가스 등에서 추출된 수소를 연료로 공급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것.

일반 화학전지와 달리 연료와 공기가 공급되는 한 계속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수소연료전지는 화석연료를 이용하는 터빈발전방식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26%) 소음이 없고 온실가스 발생이 적은(40%) 친환경 에너지원이다.

용도에 따라 수송(자동차)·발전·가정·휴대용 등으로 나뉜다.

수소연료전지는 전해질에 따라 PEMFC(고분자전해질형), PAFC(인산형), MCFC(용융탄산염형), SOFC(고체산화물형) 등으로 구분된다.

발전용은 PAFC, MCFC, SOFC 방식을 사용하는데 셀 수백 개를 연결해 만든 컨테이너박스 크기의 모듈로 전력을 생산해 건물 등에 공급하는 용도로 쓰인다. 특히 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인한 정전사태에 대비하기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용도로 필요성이 늘고있다.

관련어

  • 성장관리권역

    수도권정비계획법은 서울과 경기도를 과밀억제권역, 성장관리권역, 자연보전권역 등3개 권역으로...

  • 순수출포지션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차감한 순수출이 환율에 노출된 수준을 말한다. 환율이 상승하면 ...

  • 수인성 감염병

    세균, 바이러스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세균과 바이러스가 오염된 물을...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나중에 아파서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됐을 때 연명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뜻을 미리 밝혀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