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손실회피성

[loss aversion]

같은 금액이라면 손실을 이익보다 훨씬 더 크게 느끼는 현상을 가리킨다. 200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이스라엘 심리학자 다니엘 카너먼이 에이모스 트버스키와 함께 1979년 제시한 가치함수가 손실회피성을 잘 설명해 준다. 가치함수를 그래프로 그리면 좌우 비대칭의 S자 모양이 나온다. 이익 쪽보다 손실 쪽 그래프가 더 가파른 기울기를 보인다. 같은 금액이라면 손실에 대해 느끼는 가치의 크기가 이익으로 인한 가치의 두 배에 이른다.

이 같은 손실회피성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주식 같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를 주저하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대개 사람들은 자신의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위험자산의 비중을 아주 낮게 유지한다. 물론 자신의 위험선호 성향에 맞지 않게 위험자산의 비중을 높이면 안 되지만 장기적으로 위험자산의 비중이 너무 낮으면 적절한 수익률을 기대하기 어렵다.

  • 스턱스넷[Stuxnet]

    발전소 등 전력 설비에 쓰이는 지멘스의 산업자동화제어시스템(PCS7)만을 감염시켜 오작동을...

  • 시티 오브 런던[City of London]

    런던의 금융중심지다. 동서로 런던타워에서 성바오로 성당까지,남북으로 템스강에서 런던 월까지...

  • 생활임금[living wage]

    물가상승률과 가계소득·지출을 고려한 실제 생활이 가능한 최소 수즌의 임금. 실제 생활이 가...

  • 사망채권[death bond]

    비싼 보험료를 내기 어렵거나 보험금을 일찍 받고 싶은 보험 가입자들의 보험증서를 매입,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