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DDoS attack]

인터넷 상에서 연결된 여러 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하나의 표적 시스템에 동시에 다량 접속(공격)함으로써 시스템이 더 이상 서비스를 계속할 수 없도록 만드는 사이버 공격의 일종. 즉 특정 웹사이트에 한꺼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서버를 마비시킨다. DDoS는 사용자도 모르게 PC에 악성코드를 심고 특정 웹페이지를 공격하게 만든다. 해커가 사람들이 많이 찾는 웹사이트에 악성코드를 숨겨놓으면 일반 사용자의 컴퓨터가 이 사이트에 접속하는 순간 악성코드가 컴퓨터에 자동으로 전달되는 방식이다.

감염된 컴퓨터는 악성코드에 지정된 표적 사이트에 대량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보내는 행동을 반복하는 이른바 ''좀비 PC''가 된다. 보통의 DDoS 공격은 중간에 제어하는 서버가 있어 이를 차단하면 문제가 해결됐지만 2009년 7월 7일에 퍼지기 시작한 DDos는 중간 서버가 없이 악성코드 스스로 PC를 조종하는 진화된 방식이다.

  • 발행어음

    발행어음은 증권사가 투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약정 수익률을 지급하는 만기 1년 이내의 단...

  • 배치전환[Job Transfer]

    근로자의 업무 위치를 바꿔주는 것으로 전환배치, 인사이동, 전보 등이 이에 해당된다. 근로...

  • 보증거래[secured transaction]

    증권이익에 관계되는 증권약정에 근거한 거래로서 개인 자산이나 부동산은 이행이나 부채를 위하...

  • 브라운백 미팅[brown bag meeting]

    간단한 점심식사를 곁들인 토론모임을 말한다. 할인마트 등지에서 구입한 샌드위치와 같은 음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