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상속·증여세 완전포괄주의

 

별도의 면세규정이 없는 한 모든 상속 및 증여 행위에 대해 세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세 방식. 과세 대상과 요건을 일일이 명시하는 열거(列擧)주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우리나라에서는 2003년에 도입됐다. 상속·증여세를 피해가는 편법은 막을 수 있지만 헌법의 조세법률주의에 위반되며 그런 만큼 과세권 남용의 소지를 안고 있다.

  • 성장성 비율

    기업의 한 해 경영 규모 및 기업활동의 성과가 전년도에 비하여 얼마만큼 증가하였는가를 보여...

  • 소규모 기업효과[small size effect]

    회사의 규모가 작을수록 주식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 규모가 작은 기업의 주식의 수익률...

  • 스윙계좌[Swing account]

    예금 잔액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더 높은 금리를 주는 계좌로 옮겨주는 상품.연 ...

  • 셀레늄[selenium]

    항산화제의 일종. 적혈구의 혈구소가 산화되어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며 간경화증에서는 간의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