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계약학과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또는 산업체 등과의 계약에 의해 정원 외로 개설ㆍ운영할 수 있는 학위 과정이다. 2003년 산학협력 촉진을 위해 개정된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제8조에 의해 탄생 근거를 마련했다. 계약학과의 형태는 두 가지다. 특정 기업체 직원의 재교육이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형''이 있고,채용을 조건으로 특별한 교육 과정의 운영을 요구하는 ''고용보장형''이 있다. 학부 또는 대학원 모두에 신설할 수 있다.

  • 건설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

    건설 사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공사 전체를 관리하는 선진화된 건설 서비스다. 건축주 입장을...

  • 가처분 신청

    긴급을 요하는 사건에 대해 빠른 시간안에 법원의 결정을 구하는 제도다. 정식 재판과 달리 ...

  • 그룹웨어[group ware]

    대표적인 업무자동화 소프트웨어(SW)로 결재, 보고, 공지사항 안내 등 회사 내 각종 업무...

  • 공인전자문서보관소

    국가의 지정을 받아 기업·은행·신용카드사 등의 타인이 의뢰한 전자문서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