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사망채권

[death bond]

비싼 보험료를 내기 어렵거나 보험금을 일찍 받고 싶은 보험 가입자들의 보험증서를 매입, 유동화한 다음 연금이나 헤지펀드에 되파는 투자 상품이다. 보험료가 부담스러운 노인들은 자신이 사망할 때 받을 보험금을 생명결제회사에 전부 넘기고, 이 대가로 생명결제회사는 매달 보험료를 대신 내주고 현 시점에서 사망 시 보험금의 20~40% 정도를 개인에게 미리 지불한다.

생명결제회사는 이렇게 사들인 보험증권을 채권의 형태로 만들어 5-6%의 수수료를 받고 투자은행이나 헤지펀드 등에 재판매한다. 따라서 보험 가입자가 일찍 사망하면 사망할수록 투자자의 이득이 커지게 된다. 사망 채권의 정식 명칭은 ''생명 결제 담보부 증권(life settlement-backed security)''이다.

  • 소셜 펀딩[social funding]

    개인이나 신생기업이 사업 개요를 인터넷에 공개해 일반인의 투자를 받는 방식. 영화 음반 등...

  • 실버산업[silver industry, mature market]

    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조, 판매하거나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

  • 신용관리기금

    1982년 12월에 제정된「신용관리기금법」에 의거, 종합금융회사 및 상호신용금고의 경영부실...

  •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start-up accelerator]

    벤처 인큐베이터보다 더 초기 단계의 창업 기업을 벤처 단계로 성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업을...